맨위로가기

빔 사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빔 사벨은 《기동전사 건담》에 등장하는 가상의 무기로, I 필드를 활용하여 미노프스키 입자 등을 검의 형태로 만들어 고온의 절단력을 발휘한다. 초기에는 작동 원리가 명확히 설명되지 않았으나, 이후 설정이 구체화되었다. 빔 사벨은 건담 시리즈의 우주세기, 미래세기, 애프터 콜로니 등 다양한 세계관에서 각기 다른 기술과 특징으로 묘사되며, 라이트세이버와 비교되기도 한다. 빔 사벨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사용되며, 특정 기술을 통해 빔 사벨의 위력을 더욱 증폭시키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가공의 도검 - 헤븐리 소드
    헤븐리 소드는 닌자 시어리가 개발한 액션 어드벤처 게임으로, 주인공 나리코가 '헤븐리 소드'라는 무기를 사용하여 폭군 킹에 맞서 싸우며, 다양한 전투 스타일, 탐험, 퍼즐, 퀵 타임 이벤트를 통해 게임을 진행하는 이야기이다.
  • 가공의 도검 - 도검난무
    도검난무는 DMM 게임즈와 니트로플러스가 협업하여 제작한 웹 브라우저 기반 온라인 게임으로, 플레이어는 사니와가 되어 도검남사들을 수집하고 육성하여 역사를 수정하려는 세력에 맞서 싸우는 게임이다.
  • 건담 시리즈의 무기 - 히트 호크
    히트 호크는 애니메이션 《기동전사 건담》에 등장하는 모빌 슈트용 근접 무기로, 고열을 발생시켜 적을 절단하며, 자쿠 II S형을 시작으로 다양한 MS에 장비된다.
  • 건담 시리즈의 무기 - 코어 부스터
    코어 부스터는 코어 파이터의 성능을 강화하기 위해 개발된 전투기로, 무장과 연료 적재량을 늘리고 높은 기동성을 확보하여 다양한 베리에이션으로 여러 작품에서 활약한다.
빔 사벨
무기 정보
종류빔 병기, 근접전 병기
사용 작품건담 시리즈
개요
설명미노프스키 입자 산포하에서 에너지 CAP 기술을 응용한, E 필드를 검의 형태로 유지하여 절단력을 높인 빔 병기이다.
주로 모빌 슈트나 모빌 아머 등의 대형 병기에 장비된다.
구조 및 작동 원리
기본 원리검의 형상으로 성형된 고에너지의 플라스마자기장으로 제어하여 칼날을 형성한다.
이 칼날은 매우 높은 에너지 밀도를 가지며, 목표물을 녹여서 절단한다.
에너지 공급통상적으로 모빌 슈트의 핵융합로에서 공급되는 고출력의 에너지를 사용한다.
E-CAP 기술을 사용하여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한다.
칼날 형성칼날의 형태와 길이는 자기장 제어를 통해 조절 가능하다.
일부 기종에서는 칼날의 색상 또한 조절 가능하다.
특징
장점강력한 절단력: 거의 모든 종류의 장갑재를 절단할 수 있다.
높은 에너지 효율: 에너지 소비량 대비 파괴력이 높다.
다양한 활용성: 칼날의 형태와 길이를 조절하여 다양한 전투 상황에 대응할 수 있다.
단점에너지 소모: 지속적으로 에너지를 공급해야 하므로, 에너지 고갈 시 사용 불가능하다.
I 필드 방어: I 필드를 사용하는 기체에는 효과가 감소하거나 무력화될 수 있다.
빔 간섭: 빔 병기 간의 간섭 현상으로 인해 위력이 감소할 수 있다.
종류
일반형 빔 사벨가장 기본적인 형태의 빔 사벨
빔 토치절단 기능 외에 용접 기능이 추가된 형태
빔 랜스창의 형태로, 관통력에 특화된 형태
빔 액스도끼의 형태로, 파괴력에 특화된 형태
빔 자벨린투척 무기로 사용되는 형태
사용 예시
작품별 사용 예시기동전사 건담: 건담자쿠를 상대로 사용
기동전사 Z 건담: Z 건담이 디 오를 상대로 사용
기동전사 건담 ZZ: 더블 제타 건담이 퀸 만사를 상대로 사용
기동전사 건담 역습의 샤아: 뉴 건담사자비를 상대로 사용
기동전사 건담 UC: 유니콘 건담시난주를 상대로 사용
기타
주의사항빔 사벨은 강력한 무기이므로, 사용 시 주변에 피해를 주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빔 사벨의 칼날은 매우 뜨거우므로, 직접 만지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빔 사벨은 에너지 소모가 크므로, 사용 시간을 조절해야 한다.

2. 빔 사벨의 작동 원리 및 특징

기동전사 건담』의 빔 사벨은 방영 초기에는 원리가 전혀 설명되지 않았다. 에너지 CAP 및 I 필드를 도입한 설정은 1981년 무크지 『건담 센추리』가 최초였다. 거기서 설정된 "I 필드를 도검 모양으로 형성한 공간에 미노프스키 입자 또는 메가 입자를 채워 넣은 것"이라는 해석은 이후 많은 미디어에서 설정으로 채용되고 있다.

건담의 원작자인 토미노 요시유키가 쓴 소설판 『기동전사 건담 F91』이나 애니메이션 『∀건담』 등에는 "빔 사벨은 중금속 입자를 발진시켜 고온으로 만든 것이다"라는 취지의 기술이 있지만, 그것만으로는 "간섭"(예를 들어 빔 사벨끼리의 칼날 부딪힘)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그 외에도 다른 메커니즘이 관련되어 있다고 해석된다.

2. 1. 빔 사벨과 라이트세이버의 비교

《스타워즈 시리즈》의 라이트세이버는 아크 방전이나 전하를 이용해 플라스마 에너지 날을 형성한다.건담 시리즈의 빔 사벨(우주세기)은 미노프스키 입자를 빔 형태로 만들어 검신을 형성한다.영상적인 특징(발광, 절단력, 빔 사벨끼리의 격돌 등)은 두 무기가 유사하다.

기동전사 건담』의 빔 사벨은 방영 초기에는 원리가 전혀 설명되지 않았다. 에너지 CAP 및 I 필드를 도입한 설정은 1981년 무크지 『건담 센추리』가 최초였다. 거기서 설정된 "I 필드를 도검 모양으로 형성한 공간에 미노프스키 입자 또는 메가 입자를 채워 넣은 것"이라는 해석은 이후 많은 미디어에서 설정으로 채용되고 있다.

건담의 원작자인 토미노 요시유키가 쓴 소설판 『기동전사 건담 F91』이나 애니메이션 『∀건담』 등에는 "빔 사벨은 중금속 입자를 발진시켜 고온으로 만든 것이다"라는 취지의 기술이 있지만, 그것만으로는 "간섭"(예를 들어 빔 사벨끼리의 칼날 부딪힘)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그 외에도 다른 메커니즘이 관련되어 있다고 해석된다.

2. 2. 빔 사벨의 위력

최초기에 제조된 건담의 빔 사벨은 30cm 두께의 티타늄 강을 1초 이내에 절단(용단)할 수 있다. 애니메이션 시리즈에서 빔 사벨로 용단된 모빌 슈트의 장갑은 적열된 용융 상태로 묘사되어 그 위력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열 에너지 확산이 심한 수중전에서도, 애니메이션 『기동전사 건담』에서 건담이 고그, 그라브로와 같은 중장갑기를 짧은 시간의 빔 칼날 접촉으로 격파하여 높은 위력을 유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TV 애니메이션 『기동전사 건담 ZZ』, TV 애니메이션 『기동전사 V건담』에서는 수중에서 빔 사벨을 발진하면 주위에 연속적으로 수증기 폭발이 일어나는[7][8] 등, 보다 위력을 강조한 묘사가 이루어졌다.

『기동전사 V건담』에서 칼날에 직접 접촉한 인체(네네카 부대)가 슬로우 모션 묘사에서도 순식간에 증발하는 장면[9]이나, OVA 『기동전사 건담 제08MS소대』에서 칼날 출력을 낮춘 상태에서 눈에 접촉시켜 주위 지형의 흙을 짧은 시간 안에 마그마화시켜 웅덩이를 만들고, 더 나아가 눈의 증발수를 모아 즉석 온천을 준비하는[10] 등, 시청자에게 빔의 초고온을 전달하는 묘사들이 있다.

3. 건담 세계관별 빔 사벨

3. 1. 우주세기 (U.C.)

에너지 CAP에 의해 축퇴되어 메가 입자가 된[4], 혹은 메가 입자가 되기 직전의 높은 에너지 상태의 미노프스키 입자를 I 필드로 수속시켜 칼날 형태로 만든 열 에너지 병기이다. 빔 사벨의 가동 에너지는 모빌 슈트 본체에서 매니퓰레이터의 에너지 커넥터를 통해 이루어진다. OVA 기동전사 건담 제08MS 소대에서는 사벨의 자루 부분과 커넥터를 연결하는 기구가 상세하게 묘사되어 있다.[5]

빔 사벨을 형성하는, 고 에너지 상태의 미노프스키 입자를 가두고 있는 I 필드는 다른 빔 사벨의 I 필드나, 히트 병기의 준 플라즈마 형태와 접촉하면 척력을 발생시켜 반발한다. 이것에 의해 빔 사벨끼리, 혹은 빔 사벨과 히트 병기가 칼날을 맞대면 "칼날 싸움"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사벨을 형성하는 I 필드의 출력 차이가 크면, 대출력 측이 칼날 싸움을 격렬하게 입자를 흩뿌리면서 시간을 들여 압도하는 경우도 있다.[6]

빔 사벨은 1년 전쟁 당시, 건담에 처음으로 백병전용 무기로 장비되었고, 이후 지구 연방군 측에서는 이, 지온 공국군 측에서는 걘이나 겔구그 등이 장비하면서 모빌슈트의 표준 무장이 되었으며, 이후 거의 모든 기체에 빔 사벨이 장비되었다. 빔 사벨은 발생하는 빔의 칼날 형태의 차이에 따라 몇 가지 변형이 존재한다. 긴 자루의 끝 부분에만 칼날을 발생시켜 에너지 소비를 줄인 빔 자벨린이나, 자루의 양쪽에서 2개의 칼날을 발생시킬 수 있는 빔 나기나타 등이 대표적인 변형이지만, 기라 도가에 장비된 빔 사벨처럼 사벨, 액스, 픽과 같이 여러 형태의 빔 칼날을 하나의 장비로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한 것도 있어, 범용성이 높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일찍부터 겸용 병기로서도 발전하여, 건담 시작 1호기의 빔 라이플은 근접 방어용 "주테"를 총신 하부에 발생시킬 수 있으며, Ζ건담의 빔 라이플, 하이퍼 메가 런처는 포구에서 사벨의 칼날을 발생시킬 수 있다 (극중에서는 이것을 "'''롱 빔 사벨'''"이라고 부른다). 반대로 건담 시작 1호기나 ΖΖ건담, 큐베레이 등의 빔 사벨은 기체에 홀드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빔 건으로도 기능한다 (Ζ건담도 웨이브 라이더 형태 시에는 빔 사벨이 빔 건이 된다).

제2차 네오 지온 항쟁 때가 되면 리미터 기능이 추가되어, 칼날은 참격 시에만 발생하도록 개량되었다. 또한, 칼날은 원뿔형 외에도 "검"처럼 평평한 모양의 것도 등장했다. ν건담이나 사자비와 같은 커스텀 기체에는 칼날 모양이 다른 2종류의 빔 사벨이 장비되어 있다.

우주세기 0120년경이 되면 빔 실드가 등장하는데, 이것 역시 빔 사벨 형성 기술을 응용한 것이다. 이후에는 크로스본 건담의 빔 잔버나 마더 뱅가드의 빔 마스트, 고트라탄의 빔 톤파처럼, 더욱 대형화되고 자유로운 형태의 것이 등장하고 있다.

3. 1. 1. 특수한 전법

빔 사벨을 이용한 특수한 공방은 초기 작품에서도 볼 수 있다. TV판 기동전사 건담 제38화 "재회, 샤아와 세이라"에서 아무로 레이가 샤아 전용 겔구그가 발사한 빔을 빔 사벨로 튕겨내는 장면이 그 예이다.

극장 애니메이션판 기동전사 Z 건담카미유 비단은 발진 상태로 투척한 사벨에 라이플을 쏘아 메가 입자를 주변에 무작위로 방사시키는 "빔 컨퓨즈"를 통해 다가오는 판넬을 모두 제거한다.

기동전사 V 건담웃소 에빈은 빔을 부채꼴로 발진시킨 사벨에 라이플을 쏴서 "빔 컨퓨즈"와 유사한 현상을 일으키고[11], 2개의 같은 종류의 사벨을 십자형으로 조합하여 I필드를 융합, 십자 수리검형 빔 날로 던지거나[12], 마찬가지로 같은 종류의 사벨을 정렬하여 동기화함으로써 순간적으로 몇 배 길이의 빔 날을 발진시키는[13] 등의 공격을 효과적으로 사용하여 많은 적기를 격추한다.

그 외에도 게임 건담 온라인에서는 빔의 수렴을 끊는 것으로 빔으로 만들어진 칼날을 날릴 수 있는 게임 시스템으로 되어 있다.

3. 2. 미래세기 (F.C.)

미래세기를 세계관으로 하는 기동무투전 G건담에 등장하는 빔 사벨은 통상적인 빔 건 기술이 아닌, 나노 기술의 실드 기술을 응용한 유사 빔이다. 이는 고열 고압의 핵융합 반응을 봉인하기 위해 개발된 분자 물질이며, 일정 부하를 가함으로써 분자간의 연결을 강화하여 형태를 만드는 성질을 가진다. 건담 파이트 개최 중에 지구를 덮고 있는 빔 로프나 모빌 트레이스 시스템의 콕피트 내에서 사용되는 빔도 이 기술을 응용하고 있다. 볼트 건담의 빔 체인도 이 기술을 응용한 것이다.

본래의 유사 빔은 열량을 가지지 않기 때문에, 빔 사벨에서는 일부러 열량을 부가하여 공격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조정되어 있다.

3. 3. 애프터 콜로니 (A.C.)

애프터 콜로니를 세계관으로 하는 작품에서는, 초기 전투용 MS인 토르기스 시점에서 이미 빔 사벨이 실용화된 병장이다.[14] 건다늄 합금계 소재를 사용한 특정 기체의 빔 사벨은 그 재질의 내성으로 인해 빔 발생 장치가 엄청난 출력을 가지며, 신기동전기 건담 W의 건담이 사용하는 빔 사벨은 강력한 자기장과 고열의 필드를 생성한다. 의도적으로 전리 영역을 생성하고 제어하기 때문에 해중과 같은 환경에서도 에너지 감소 없이 대상을 용단할 수 있다.[15] 건담이 수중에서 빔 병기를 사용하는 것을 보고 OZ의 수중용 모빌 슈트 파일럿이 경악하는 장면이 있다.

A.C. 세계의 건담에 장비된 빔 사벨 계열 무장의 발광색은 기본적으로 녹색이며, OZ 등 기타 기체는 대체로 분홍색이다. 발광색의 차이가 병기 성능의 차이를 나타내는 연출로 볼 수도 있다.

3. 4. 애프터 워 (A.W.)

기동신세기 건담 X》를 비롯한 애프터 워를 세계관으로 하는 작품에 등장하는 빔 사벨에는 이 세계관 특유의 상세한 설정이 확인되지 않았다.

GX 계열 기체의 것은 새틀라이트 시스템에서 매니퓰레이터를 통해 에너지를 공급받기 때문에 다른 것들보다 출력이 높은 양날 검 형태의 칼날을 형성하며, 손잡이 부분도 높은 출력을 상정하여 상당히 크게 만들어져서 "빔 사벨"이라고 불리지 않고 "빔 소드"라고 불린다. 일반적으로 건담 바사고나 일부 양산기가 가진 것이 "빔 사벨"이다. 파생 병기로는 빔 나이프, 빔 커터, 빔 재블린이 있으며, 설정상으로는 우주세기의 Ζ 건담이 사용하는 롱 빔 사벨과 같은 기구가 존재한다.

3. 5. 정력 (C.C.)

정력 세계관에서 ∀건담의 빔 사벨은 플라즈마 에너지를 전자장으로 칼날 모양으로 봉인한 것이다.[16]작중에서는 이것을 든 손목을 고속 회전시켜 빔 실드처럼 사용하기도 했다.[17]

3. 6. 코즈믹 이라 (C.E.)

코즈믹 이라를 세계관으로 하는 《기동전사 건담 SEED》 시리즈에 등장하는 빔 사벨은 미라주 콜로이드용 자장 형성 이론의 응용 기술로 빔을 칼날 형태로 고정시킨 것이다.[18] 빔 날의 색상은 핑크, 옐로우, 그린 등으로 표현된다.

빔 사벨은 서로 반발하는 성질이 없어 스쳐 지나가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해 빔 병기에 대한 내성을 갖춘 "실드"를 장비하고 있다.[19] 그러나 극중 일부 장면에서는 빔 사벨끼리 격돌하는 모습이 묘사되기도 했다.[20]

이 세계관의 대 빔용 방호 기술로는 진동 강재에 의해 실드에 공진 현상을 발생시켜 파괴력을 감쇠시키거나,[21] 대 빔 코팅,[22] 라미네이트 장갑,[23] 광파 방어대[24] 기술을 사용한 것이 존재한다. 또한, 빔 부메랑과 빔 라이플과 같은 특정 빔의 조합에서는 빔 억제 필드끼리 간섭하여 격돌하는 경우도 있다.[24]

3. 7. 서력 (A.D.)

《기동전사 건담 00》의 세계관인 서력에서 등장하는 "GN 빔 사벨"은 양전자로 만들어낸 공간에 압축한 GN 입자를 충전하여 칼날을 형성한다. 이 때문에 양전자의 작용으로 실체검을 받아낼 수 있다.[25] 또한, 퍼스트 시즌에 등장하는 유니온 진영과 AEU 진영의 최신 MS는 빔 사벨 개발 과정에서 만들어진 장비로서 E-카본(E-Carbon) 제 칼날에서 플라즈마를 뻗는 소닉 블레이드(플라즈마 소드)를 장비하고 있다.[26]

GN 빔 사벨의 파생 병기로, 건담 엑시아가 장비하는 투척 무기인 GN 빔 대거가 존재하며, 더블오 건담에서는 출력 조절을 통해 양쪽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빔 사벨이 장비되었다. GN 소드 등에서는 칼날에 GN 입자를 두름으로써 실체검이면서도 GN 입자를 활용한 높은 절삭력을 자랑하며, 빔 사벨과의 검술 대결도 가능하다. 더블오 건담이 장비하는 GN 소드 III에서는 에지 부분에 GN 입자를 열 에너지로 변환하여 대상물을 용해하면서 절단하는 녹색 신소재를 사용하여 실체검이면서 빔 사벨의 특성을 겸비한 무장도 존재한다. 이 실체검 쪽을 주무기로 하고 있기 때문에, 다른 작품에 비해 빔 사벨의 사용·활약 빈도는 적은 편이다.

3. 8. 어드밴스드 제네레이션 (A.G.)

A.G. 115년 플리트 편에서는 지구연방군과 베이건 양측 모두 빔 병기를 널리 사용한다.[27] 빔 사벨의 칼날은 납작한 형태를 띈다. 베이건 기체는 손바닥의 빔 발칸 발사구가 빔 사벨 발생기를 겸한다. 연방군은 건담 AGE-1 노멀이 빔 대거를, G 엑제스가 고출력 빔 사벨을 장비했다. 앰뱃 공략전에는 지라나 제노, 엘메다 등 구 국가 파벌의 MS에도 빔 사벨이 장비되었다.

A.G. 140년 아셈 편 이후에는 건담 AGE-2 및 지구연방군의 MS에 빔 사벨이 표준 장비된다.

A.G. 164년 키오 편에서는 베이건 측 기체에 다양한 빔 날을 형성하는 창 "길라가 스피어", 리본 모양의 빔 사벨 및 포자 모양 비트를 형성하는 "폰 팔시아 배턴" 등이 등장한다.

소설판에서는 건담 AGE-1의 빔 사벨이 하전 입자를 전자 수속시킨 병기로 추정된다.[28]

4. 기타

빔 사벨은 발광을 동반하기 때문에 은밀성이 떨어진다는 약점이 있다. 그러나 파일럿의 기술과 전황에 따라 빔 날을 발생시킨 상태로 우주 공간에 던져 적 파일럿의 인식을 속이는 '변칙'처럼 사용할 수도 있다(건담 시작 2호기 등).

기동전사 건담 철혈의 오르펜스의 P.D. 세계에서는 빔 병기가 널리 보급되지 않아 빔 사벨이 등장하지 않는다. 모빌 슈트의 근접 전투용 무기는 메이스 등의 둔기나 도검이 주를 이룬다.

둥글게 만 포스터를 백팩 상단에 꽂아 넣은 상태를, 건담에 비유하여 빔 사벨이라 부르기도 한다. 이는 아키하바라 등을 활보하는 오타쿠들이 자주 하는 행위로, 그것이 건담처럼 보인다는 점에서 반쯤 자학적으로 칭하는 것이다.

참조

[1] 문서 スター・ウォーズのビーム系射撃兵器
[2] 문서 ミノフスキー粒子#応用技術|宇宙世紀でのビーム系射撃兵器
[3] 서적 第5章 企画 飯塚正夫 《大河作品を、映画のような作品を》 講談社 2002-10-09
[4] 서적 ENTERTAINMENT BIBLE .1 機動戦士ガンダム MS大図鑑【PART.1 一年戦争編】 バンダイ 1989-02-20
[5] 간행물 機動戦士ガンダム 第08MS小隊
[6] 웹사이트 激突戦域 http://www.gundam008[...]
[7] 웹사이트 塩の湖をこえて http://www.gundam-zz[...]
[8] 웹사이트 海に住む人々 http://www.v-gundam.[...]
[9] 웹사이트 天使の輪の上で http://www.v-gundam.[...]
[10] 웹사이트 再会 http://www.08ms-team[...]
[11] 간행물 機動戦士Vガンダム
[12] 간행물 機動戦士Vガンダム
[13] 간행물 機動戦士Vガンダム
[14] 서적 新機動戦記ガンダムW MSエンサイクロペディア 一迅社 2007-12-01
[15] 서적 電撃データコレクション 新機動戦記ガンダムW 増補改訂版 アスキー・メディアワークス 2012-02
[16] 서적 THE MEMORY OF FIRST WIND 「∀ガンダム」全記録集1 株式会社 講談社 2000-01-18
[17] 문서 ヘビーガン
[18] 문서 1/144 HG ガンダムアストレイ レッドフレーム バンダイ 2004-04
[19] 문서 パーフェクトグレード MBF-02 ストライクルージュ+スカイグラスパー バンダイ 2005-08
[20] 서적 機動戦士ガンダムSEED 1 すれ違う翼 角川スニーカー文庫 2003-04-01
[21] 문서 マスターグレード 1/100 エールストライクガンダム バンダイ 2004-11
[22] 문서 1/100 ガナーザクウォーリア(ルナマリア・ホーク専用機) バンダイ 2005-03
[23] 서적 機動戦士ガンダムSEED オフィシャルファイル メカ編vol.1 講談社 2003-02-17
[24] 서적 機動戦士ガンダムSEED DESTINYモデルVol.2 DESTINY MSV編 ホビージャパン 2006-03-31
[25] 서적 機動戦士ガンダム00 300 YEARS LATER 講談社 2009-01
[26] 문서 1/144 HG ユニオンフラッグ バンダイ 2007-10
[27] 간행물 機動戦士ガンダムAGE
[28] 서적 小説版 機動戦士ガンダムAGE(1)スタンド・アップ 角川書店 2012-02-01
[29] 문서 스타워즈의 빔계 사격무기는 휘발성 블래스터 가스를 광자 빔으로 변환해 발사하는 무기로 라이트세이버와는 구조가 전혀 다르다.
[30] 문서 이것은 우주세기의 빔계열 사격 병기와 거의 같은 구조이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